Where do math symbols come from? - John David Walters

2,525,073 views ・ 2017-10-30

TED-Ed


This video has Korean subtitles only. Please double-click on the Korean subtitles below to play the video.

00:00
번역: 조 영호 검토: Jihyeon J. Kim
0
0
7000
00:07
16세기에 수학자인 로버트 레코드는
1
7057
3237
00:10
"지혜의 숫돌"이라는 책을 썼습니다.
2
10294
2750
00:13
영국 학생들에게 대수학을 가르치기 위해서였죠.
3
13044
2923
00:15
하지만 지루하게도 " ~와 같다"를 쓰고 또 써야 했습니다.
4
15967
5148
00:21
그래서 어떻게 했을까요?
5
21115
1511
00:22
수평으로 평행하게 그은 두 선으로 이 말들을 모두 바꿔 썼습니다.
6
22626
4612
00:27
두 개의 평행선만큼 같은 것은 없다고 생각했기 때문이지요.
7
27238
5027
00:32
선 2개 대신 4개를 이용해도 되었을까요?
8
32265
2689
00:34
물론이죠.
9
34954
1242
00:36
세로 선을 이용할 수도 있었나요?
10
36196
2093
00:38
사실, 몇몇 사람들은 그렇게 쓰기도 했습니다.
11
38289
2415
00:40
등호가 오늘날의 형식으로 굳어지게 된 이유는 없습니다.
12
40704
4291
00:44
어떻게 보면, 단지 유행이었고, 따라하기 같은 거였죠.
13
44995
3207
00:48
점점 더 수학자들이 이를 사용하기 시작했고,
14
48202
2526
00:50
마침내는 같음을 나타내는 표준 기호로 자리잡게 되었습니다.
15
50728
4840
00:55
수학은 기호로 가득합니다.
16
55568
1399
00:56
선,
17
56967
775
00:57
점,
18
57742
820
00:58
화살표,
19
58562
739
00:59
영문자,
20
59301
956
01:00
그리스 문자,
21
60257
955
01:01
윗첨자,
22
61212
977
01:02
아랫첨자.
23
62189
1159
01:03
읽기 어렵게 마구 섞어 놓은 것 같죠.
24
63348
2611
01:05
이렇게 다양한 부호에 겁을 먹는 것은 어찌보면 당연합니다.
25
65959
3860
01:09
그 부호가 어디서 왔는지도 궁금해 하는 것도요.
26
69819
3229
01:13
때로는 레코드가 등호에 대해 설명한 것처럼
27
73048
3560
01:16
기호와 기호가 나타내는 대상이 연관이 있는 경우도 있습니다.
28
76608
4900
01:21
이에 대한 예로는 덧셈을 나타내는 더하기 기호가 있습니다.
29
81508
3692
01:25
이 기호는 "그리고"를 뜻하는 라틴 문자 et 을 축약한 것입니다.
30
85200
5287
01:30
하지만 때로는 다소 제멋대로 기호를 선택하기도 합니다.
31
90487
3353
01:33
가령 크리스티안 크램프라는 수학자는
32
93840
2731
01:36
팩토리얼를 느낌표로 표기했습니다.
33
96571
3610
01:40
단지 이런 긴 계산들을 줄여쓰고 싶었기 때문이지요.
34
100181
2682
01:42
이런 식으로요.
35
102863
1820
01:44
사실, 이 모든 기호는 수학자들이 발명하거나 채택한 것입니다.
36
104683
3375
01:48
반복해서 사용하는 걸 피하고
37
108058
3914
01:51
긴 단어를 사용하지 않고, 수학 개념을 작성 하려고 말이죠.
38
111972
5050
01:57
수학에서 사용 되는 많은 기호는 대부분
39
117022
2661
01:59
라틴 알파벳이나 그리스 문자입니다.
40
119683
4136
02:03
문자는 알 수 없는 수량을 나타내기도 하고,
41
123819
4210
02:08
변수들 간의 관계를 나타내기도 합니다.
42
128029
3162
02:11
자주 나타나는 특정 숫자를 대신하기도 하지만
43
131191
4060
02:15
길고 복잡하거나 십진수 형식으로 쓰기 힘든 수를 대신하기도 합니다.
44
135251
5769
02:21
숫자들의 조합이나 모든 방정식도 역시 문자로 대체할 수 있습니다.
45
141020
5331
02:26
연산을 나타내기 위해 기호를 사용하기도 합니다.
46
146351
3138
02:29
몇몇은 약어로 특히 귀하게 사용 되는데,
47
149489
2704
02:32
반복되는 연산을 함축해서 기호 하나로 나타내기 때문입니다.
48
152193
4689
02:36
같은 수를 더하는 반복해서 더하는 연산은 간단하게 곱셈 기호 표현할 수 있죠.
49
156882
4671
02:41
예전처럼 많은 공간을 차지할 필요도 없습니다.
50
161553
2929
02:44
같은 수를 반복해서 곱하는 건 지수로 나타낼 수 있고,
51
164482
3440
02:47
이 지수는 곱셈을 몇번 반복하는지 알려 줍니다.
52
167922
3290
02:51
순차적인 규칙으로 덧셈을 하는 긴 연산은
53
171212
3040
02:54
대문자 시그마 기호로 줄여 씁니다.
54
174252
2961
02:57
이렇게 기호는 긴 연산을 짧은 수식으로 줄여서
55
177213
4190
03:01
보다 쉽게 연산할 수 있게 해주죠.
56
181403
3621
03:05
기호는 간단 명료하게 보여 줍니다.
57
185024
2930
03:07
어떤 방법으로 계산을 할지 말이죠.
58
187954
2683
03:10
다음의 연산들을 봅시다.
59
190637
3328
03:13
숫자 하나를 생각하세요.
60
193965
1959
03:15
그걸 두번 곱하고,
61
195924
1470
03:17
그 결과에서 하나를 빼고,
62
197394
1570
03:18
그 결과 값과 같은 값을 곱하고,
63
198964
2433
03:21
그 결과를 3으로 나누고,
64
201397
1838
03:23
그리고 하나를 더하면 최종 결과가 나옵니다.
65
203235
3410
03:26
수학 기호와 규칙 없었다면 이런 문자 덩어리를 썼겠죠.
66
206645
5541
03:32
수학 기호 덕분에 표현이 이렇게 간결하고 우아해졌습니다.
67
212186
3610
03:35
가끔 등호를 보면,
68
215796
1700
03:37
등식의 의미를 전달합니다.
69
217496
3258
03:40
하지만 대부분은 어떤 수나 연산을 대체하죠.
70
220754
2853
03:43
등식의 이해는 기호가 뜻하는 걸 기억하고,
71
223607
3071
03:46
어느 언어에서건, 이들이 쓰이는 다른 상황에 적용하는 문제입니다.
72
226678
5339
03:52
우리가 외계 문명을 만나게 되면
73
232017
2599
03:54
외계인은 완전히 다른 형태의 기호들을 사용할 것 입니다.
74
234616
4141
03:58
하지만 우리처럼 생각한다면, 기호를 가지고 있겠죠.
75
238757
5610
04:04
심지어 그들의 기호는 우리 기호와 일대일로 맞출 수 있을 겁니다.
76
244367
4269
04:08
외계인들도 자신들만의 기호가 있겠죠, 곱셈 기호,
77
248636
2131
04:10
파이 기호, 그리고 물론 등호까지도요.
78
250767
1360
이 웹사이트 정보

이 사이트는 영어 학습에 유용한 YouTube 동영상을 소개합니다. 전 세계 최고의 선생님들이 가르치는 영어 수업을 보게 될 것입니다. 각 동영상 페이지에 표시되는 영어 자막을 더블 클릭하면 그곳에서 동영상이 재생됩니다. 비디오 재생에 맞춰 자막이 스크롤됩니다. 의견이나 요청이 있는 경우 이 문의 양식을 사용하여 문의하십시오.

https://forms.gle/WvT1wiN1qDtmnspy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