How does your body know you're full? - Hilary Coller

2,634,074 views ・ 2017-11-13

TED-Ed


This video has Korean subtitles only. Please double-click on the Korean subtitles below to play the video.

00:00
번역: Soo Jin LEE 검토: Ju Hye Lim
0
0
7000
00:08
배고픔은 으르렁거리는 배를 할큅니다.
1
8187
2800
00:10
음식을 달라고 몸부림치는 내장을 잡아당깁니다.
2
10987
4901
00:15
배고픔은 강력하고도 불쾌한 신체 감각을 생성하는데
3
15888
4991
00:20
무시하는 것이 거의 불가능합니다.
4
20879
2590
00:23
아침 식사로 팬케이크를 배불리 먹은 후에
5
23469
3179
00:26
배고픔과는 정반대의 힘인 포만감을 경험하게 됩니다.
6
26648
3843
00:30
그런데 몸은 실제로 배가 부르다는 사실을 어떻게 알까요?
7
30491
4419
00:34
배부름의 감각은 음식이 입으로 들어가
8
34910
4020
00:38
식도를 따라 내려가면서 시작됩니다.
9
38930
2279
00:41
음식이 위에 도착하면 서서히 공간을 채워서
10
41209
3771
00:44
근육으로 만들어진 위벽을 늘어나게 합니다.
11
44980
3151
00:48
풍선처럼 천천히 늘어나죠.
12
48131
2629
00:50
위벽을 정교하게 둘러싼 수많은 신경 세포들은
13
50760
3448
00:54
위가 늘어나는 것을 감지합니다.
14
54208
1962
00:56
그래서 이를 미주신경을 통해 뇌줄기와 시상하부까지 전달합니다.
15
56170
4530
01:00
시상하부는 음식섭취를 조절하는 주요 부위입니다.
16
60700
3950
01:04
하지만 뇌가 포만감을 감지하는 데 사용하는 정보 중 하나에 불과합니다.
17
64650
3840
01:08
물로 배를 채우면
18
68490
2521
01:11
포만감은 오래 가지 않잖아요.
19
71011
2511
01:13
뇌는 화학 물질에게서도 정보를 전달받습니다.
20
73522
3178
01:16
소화기 계통 전반에 걸쳐 내분비세포에서 분비되는
21
76700
3281
01:19
호르몬 형태의 물질입니다.
22
79981
2108
01:22
이 물질은 내장과 혈류에 있는 특정 영양소에 반응하는데
23
82089
4623
01:26
이 영양소는 음식이 소화될수록 점점 더 늘어납니다.
24
86712
3810
01:30
호르몬이 분비됨에 따라 화학 물질들은 피에 휩쓸려서
25
90522
3170
01:33
종국에는 뇌의 시상하부에 이릅니다.
26
93692
4679
01:38
20개가 넘는 위장 호르몬이 식욕 조절에 관여합니다.
27
98371
5271
01:43
그 중 하나가 바로 콜레시스토키닌으로
28
103642
2470
01:46
소장 상부에 있는 세포들에 의해서 음식에 반응하여 분비됩니다.
29
106112
5081
01:51
콜레시스토키닌이 시상하부에 도달하면
30
111193
1697
01:52
음식을 먹을 때 얻는 보상 심리가 감소됩니다.
31
112890
5382
01:58
이런 과정을 거치면 포만감이 들면서
32
118272
3998
02:02
먹는 것을 멈추게 됩니다.
33
122270
2774
02:05
콜레시스토키닌은 음식이
34
125044
2246
02:07
위장에서 창자까지 가는 속도도 늦춥니다.
35
127290
4203
02:11
그러면 위벽은 같은 시간 동안에 더 많이 늘어나게 되어
36
131493
3583
02:15
배가 다 찼다는 것을 몸이 인지할 수 있게 해줍니다.
37
135076
4148
02:19
그래서 밥을 천천히 먹을 때
38
139224
3631
02:22
빨리 먹을 때보다 더 배부르다고 느끼는 것입니다.
39
142855
3950
02:26
빨리 먹으면 몸이 자기 상태를 인식할 시간이 없습니다.
40
146805
4950
02:31
영양소와 위장 호르몬이 혈액 안에 들어가게 되면
41
151755
4180
02:35
인슐린을 분비하라고 췌장을 자극합니다.
42
155935
3210
02:39
인슐린은 렙틴이라는 호르몬을 만들라고 지방 세포를 자극합니다.
43
159145
5319
02:44
렙틴은 시상하부에 있는 뉴런 집단의 수용체와 반응합니다.
44
164464
5432
02:49
시상 하부는 배고픔을 느끼는 데 중요한 뉴런 집단이 2개 있습니다.
45
169896
5340
02:55
하나는 특정 단백질을 만들고 내보냄으로써 배고픔을 느끼게 합니다.
46
175236
5641
03:00
다른 하나는 고유 혼합물을 통해 배고픔을 억제합니다.
47
180877
4116
03:04
렙틴은 음식 섭취를 유도하는 시상하부의 뉴런을 억제하고
48
184993
4054
03:09
음식 섭취를 억제하는 뉴런을 자극합니다.
49
189047
3781
03:12
이쯤되면 몸이 느끼는 포만감은 최대가 됩니다.
50
192828
2869
03:15
호르몬, 미주 신경, 뇌간, 시상하부의 다양한 부분들이
51
195697
5419
03:21
끊임없이 정보를 교환하면서
52
201118
2337
03:23
충분히 먹었다는 신호가 뇌에 전해집니다.
53
203455
3945
03:27
학자들은 어떤 음식이
54
207400
1358
03:28
다른 음식보다 포만감을 더 오래 지속시킨다는 사실을 알아냈습니다.
55
208758
4149
03:32
예를 들어, 삶은 감자는
56
212907
2149
03:35
배부르다고 느끼게 해주는 최고의 음식 중 하나지만
57
215056
2700
03:37
크로와상은 특별히 도움이 안됩니다.
58
217756
4392
03:42
일반적으로 단백질, 섬유질, 물이 더 많이 함유된 음식이
59
222148
3291
03:45
배고픔을 오랫동안 막아줍니다.
60
225439
4492
03:49
하지만 포만감은 영원히 가지 않습니다.
61
229931
2330
03:52
몇 시간이 지나면 내장과 뇌는 다시 대화를 시작합니다.
62
232261
4748
03:57
공복의 위는 그렐린같은 또 다른 종류의 호르몬을 분비해서
63
237009
3360
04:00
시상하부에 있는 배고프게 만드는 신경 세포의
64
240369
3360
04:03
활동을 증가시킵니다.
65
243729
2101
04:05
짐승처럼 으르렁대는 굶주림이 다시 고개를 들죠.
66
245830
4158
04:09
다행인 것은 훌륭한 해독제가 존재한다는 사실입니다.
67
249988
2902
이 웹사이트 정보

이 사이트는 영어 학습에 유용한 YouTube 동영상을 소개합니다. 전 세계 최고의 선생님들이 가르치는 영어 수업을 보게 될 것입니다. 각 동영상 페이지에 표시되는 영어 자막을 더블 클릭하면 그곳에서 동영상이 재생됩니다. 비디오 재생에 맞춰 자막이 스크롤됩니다. 의견이나 요청이 있는 경우 이 문의 양식을 사용하여 문의하십시오.

https://forms.gle/WvT1wiN1qDtmnspy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