Why is Herodotus called “The Father of History”? - Mark Robinson

2,472,979 views

2017-12-11 ・ TED-Ed


New videos

Why is Herodotus called “The Father of History”? - Mark Robinson

2,472,979 views ・ 2017-12-11

TED-Ed


This video has Korean subtitles only. Please double-click on the Korean subtitles below to play the video.

00:00
번역: Yoonkeun Ji 검토: 정연 박
0
0
7000
00:01
"환경은 인간을 지배하지만
1
1450
2108
00:03
인간은 환경을 지배하지 못한다" -헤로도토스, '역사(The Histories)'
2
3558
2928
00:07
금을 캐는 거대한 개미들
3
7156
2296
00:09
바다에 300번의 채찍질을 하도록 명령한 어느 분노한 왕
4
9452
4729
00:14
유명 시인을 바다에서 구해낸 돌고래
5
14181
4621
00:18
이 이야기들은 헤로도토스의 저서 "역사"의 내용 중 일부에 불과합니다.
6
18802
3960
00:22
헤로도토스는 기원전 5세기의 고대 그리스 작가입니다.
7
22762
3999
00:26
책 속의 모든 일들이
8
26761
1682
00:28
헤로도토스가 기록한 대로 일어난 것은 아닙니다.
9
28443
2810
00:31
하지만 "역사"는 역사를 기록하는 방법에서 혁명을 일으켰습니다.
10
31253
4630
00:35
헤로도토스 이전에는
11
35883
1389
00:37
사실을 열거하는 것으로 역사를 기록했습니다.
12
37272
2950
00:40
사건들의 원인을 규명하지 않은 채
13
40222
2712
00:42
그저 신의 의지였다고 받아들이는 것에 그쳤죠.
14
42934
4219
00:47
헤로도토스는 좀 더 깊이 있고, 이성적으로 이해하고 싶었습니다.
15
47153
3230
00:50
그래서 새로운 방법으로 접근했죠.
16
50383
1810
00:52
하나의 사건을 양쪽에서 바라보고 그 원인을 이해해보기로 한 것이죠.
17
52193
5502
00:57
헤로도토스는 그리스인이었지만, 그의 고향인 할리카르낫소스는
18
57695
3500
01:01
페르시아 제국의 일부였습니다.
19
61195
2679
01:03
헤로도토스는 자라면서 강력한 페르시아 제국과
20
63874
3789
01:07
그리스 도시들 사이의 전쟁을 지켜봤고
21
67663
2002
01:09
그 원인을 찾기 위해 최선을 다하기로 했습니다.
22
69665
4220
01:13
헤로도토스에 따르면 페르시아전쟁은 기원전 499년에 시작되었는데
23
73885
4889
01:18
페르시아 치하에서 그리스 인들이 일으킨 봉기를
24
78774
2950
01:21
아테네 사람들이 지원하던 시기였습니다.
25
81724
2270
01:23
490년에 페르시아의 왕인 다리우스는 복수를 위해 아테네에 군대를 보냅니다.
26
83994
6601
01:30
하지만 마라톤 전투에서 아테네 인들이 예상을 뒤엎고 승리를 거둡니다.
27
90595
5181
01:35
10년 후, 다리우스 왕의 아들인 크세르크세스의 지휘하에
28
95776
4759
01:40
페르시아가 그리스 전체를 점령하기 위해 쳐들어왔습니다.
29
100535
3861
01:44
헤로도토스에 따르면 크세르크세스가 도착했을 떄
30
104396
2820
01:47
그의 백만 대군은 곧바로 테르모필레의 산길에서
31
107216
4119
01:51
300명의 스파르타 군대가 이끄는 그리스 군대와 대치하게 되었죠.
32
111335
5209
01:56
페르시아 군은 엄청난 손실을 입고 나서야
33
116544
1932
01:58
스파르타의 왕인 레오니다스를 죽일 수 있었습니다.
34
118476
4020
02:02
스파르타의 영웅적인 패배는 이후 수많은 약자들의 본보기가 되었습니다.
35
122496
5191
02:07
몇 주 뒤, 그리스 해군은 페르시아 함대를 유인하여
36
127687
3590
02:11
아테네 근처의 좁은 해협에서 전투를 개시합니다.
37
131277
3660
02:14
페르시아는 패배했고
38
134937
1865
02:16
달아난 크세르크세스는 다시는 쳐들어오지 않았습니다.
39
136802
3505
02:20
전쟁이 발발한 원인과 그리스의 승리 요인을 알기 위해
40
140307
3590
02:23
헤로도토스는 지중해 전역을 돌며 자료를 수집했습니다.
41
143897
4290
02:28
헤로도토스는 그리스인과 비(非) 그리스인들의 업적을
42
148187
3260
02:31
역사 속으로 사라지기 전에 모두 기록으로 남겼습니다.
43
151447
3121
02:34
그의 저서 "역사"는 다음과 같은 유명한 문장으로 시작합니다.
44
154568
2890
02:37
"할리카르낫소스의 헤로도토스가 탐구한 것을 이곳에 펼치노라."
45
157458
4331
02:41
자신의 책을 "탐구"라는 형태로 구성함으로써
46
161789
2381
02:44
헤로도토스는 자신의 책에 더 많은 이야기를 담을 수 있었습니다.
47
164170
3139
02:47
진지하거나, 가벼운 것까지 함께 말이죠.
48
167309
3100
02:50
헤로도토스는 페르시아 왕궁에서 벌어진 토론뿐만 아니라
49
170409
2529
02:52
이집트의 날아다니는 뱀의 이야기도 기록했습니다.
50
172938
3280
02:56
또 악어를 사냥하는 방법에 대한 실용적인 충고도 들어있었죠.
51
176218
4361
03:00
이와 같은 방식을 그리스어로 "부검(autopsy)"이라 하는데요.
52
180579
2879
03:03
"자기 자신을 살펴보다"라는 뜻입니다.
53
183458
2921
03:06
헤로도토스는 자신이 수집한 다양한 증거들을 조합하여
54
186379
2591
03:08
과거의 사건을 검토하고 기록한 최초의 작가였습니다.
55
188970
3846
03:12
옵시스(opsis), 또는 증인의 증언
56
192816
2191
03:15
아코에(akoe), 또는 풍문
57
195007
2117
03:17
타 레고메나(ta legomena), 혹은 전통 자료를 수집하고
58
197124
2700
03:19
놈(gnome) 혹은 이성을 이용해서
59
199824
2526
03:22
실제로 일어난 일, 즉 결론에 도달하려고 했습니다.
60
202350
4000
03:26
초창기 독자들은 사실 독자가 아닌 청자였습니다.
61
206350
3430
03:29
"역사"는 원래 28개의 절로 구성되어 있어서
62
209780
3476
03:33
각 절을 큰 소리로 읽는 데만도 4시간이나 걸립니다.
63
213256
4005
03:37
그리스의 힘과 영향력이 커지며
64
217261
3070
03:40
헤로도토스의 저서와 역사를 대하는 그의 발상이 지중해 전역에 퍼졌습니다.
65
220331
6142
03:46
최초의 역사가로서 헤로도토스는 완벽하지는 않았습니다.
66
226473
3461
03:49
때로는 페르시아보다 그리스인의 입장에서 기록했고
67
229934
3105
03:53
자신이 들은 이야기를 너무 성급하게 믿었던 탓에
68
233039
3377
03:56
일부 부정확한 면도 있었죠.
69
236416
2705
03:59
하지만, 현대에 발견된 증거들로
70
239121
2741
04:01
헤로도토스의 터무니없이 극단적인 주장이 실제로 확인되기도 했습니다.
71
241862
3088
04:04
예를 들어, 히말라야에 사는 마르모트의 일종은
72
244950
3792
04:08
땅을 파면서 금이 섞인 먼지를 일으킵니다.
73
248742
2896
04:11
고대 페르시아어로 '마못'이란 단어는 '개미'라는 단어와 아주 유사하죠.
74
251638
4890
04:16
따라서 헤로도토스는 번역 오류의 희생양이 되었는지도 모릅니다.
75
256528
5200
04:21
어쨌든, 헤로도토스는 새로운 저술 방식을 시도한 사람치고는
76
261728
3963
04:25
아주 훌륭한 편이었습니다.
77
265691
2468
04:28
오늘날에 이르기까지 역사에는 사가(史家)들의 편향적 견해와
78
268159
4679
04:32
오류가 늘상 존재했습니다.
79
272838
2401
04:35
헤로도토스의 새로운 접근법과 창의성 덕분에
80
275239
2220
04:37
수백 년 후 로마의 작가 키케로는 그에게 다음과 같은 별칭을 붙였습니다.
81
277459
5142
04:42
"역사의 아버지"라고 말이죠.
82
282601
2519
이 웹사이트 정보

이 사이트는 영어 학습에 유용한 YouTube 동영상을 소개합니다. 전 세계 최고의 선생님들이 가르치는 영어 수업을 보게 될 것입니다. 각 동영상 페이지에 표시되는 영어 자막을 더블 클릭하면 그곳에서 동영상이 재생됩니다. 비디오 재생에 맞춰 자막이 스크롤됩니다. 의견이나 요청이 있는 경우 이 문의 양식을 사용하여 문의하십시오.

https://forms.gle/WvT1wiN1qDtmnspy7