Naomi Shimada: Tips for reclaiming your peace of mind online | TED

53,296 views ・ 2021-07-27

TED


아래 영문자막을 더블클릭하시면 영상이 재생됩니다.

번역: Haemin Kwon 검토: JY Kang
00:05
Cloe Shasha Brooks: Hello, welcome.
0
5536
1801
클로이 샤샤 브룩스: 안녕하세요, 환영합니다.
00:07
You are watching a TED interview series
1
7371
2202
여러분은 TED 대담 시리즈인
00:09
called How to Deal with Difficult Feelings.
2
9606
2703
“힘든 감정을 다루는 방법“을 보고 계십니다.
00:12
I’m Cloe Shasha Brooks, your host and a curator at TED.
3
12342
3270
저는 진행자 클로이 샤샤 브룩스입니다. TED 큐레이터로 활동 중이죠.
00:15
And today we'll be focusing specifically on anxiety.
4
15612
3304
오늘은 불안이라는 감정을 구체적으로 다루도록 하겠습니다.
00:19
So first I'll be speaking with author and model Naomi Shimada
5
19283
3069
첫 번째로, 작가이자 모델인 나오미 시마다와 함께
00:22
about the anxiety associated with social media.
6
22352
2836
소셜 미디어와 연관된 불안감에 대해 이야기 나눠보겠습니다.
00:25
She coauthored a book called “Mixed Feelings:
7
25222
2402
그녀는 공동집필한 책인
00:27
Exploring the emotional impact of our digital habits."
8
27658
3336
“복잡한 감정: 디지털 습관이 주는 정서적 영향 살펴보기”을 통해서
00:30
It's all about how the internet has created a new layer
9
30994
2670
어떻게 인터넷이 우리로 하여금 완벽주의적 삶을 추구하게 만들었는지,
00:33
of perfectionist pressure on our lives
10
33664
2402
00:36
and how we can better manage our relationship with our online worlds.
11
36099
3771
또 온라인 세계를 어떻게 더 잘 다루어야 하는지를 말하고 있습니다.
00:40
Hello, Naomi. Great to see you.
12
40737
2369
안녕하세요, 나오미. 만나서 반갑습니다.
00:43
Naomi Shimada: Hello, Cloe, great to see you, too.
13
43140
3103
나오미 시마다: 안녕하세요, 클로이. 저도 반갑습니다.
00:46
I'm honored to be here.
14
46276
2002
여기에 나오게 되어 영광입니다.
00:48
CSB: Oh, well, thanks for joining us.
15
48312
1768
클로이: 나와주셔서 감사합니다.
00:50
So, Naomi, you have written and spoken
16
50113
2503
자, 나오미, 최근 저서와 강연 주제가
00:52
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ocial media and anxiety a whole bunch,
17
52616
3337
소셜 미디어와 불안감의 연관성에 대한 것이었죠.
00:55
such as the anxiety to post online or not to post.
18
55986
4171
예를 들면 인터넷에 게시물을 올릴지 말지 불안해하는 것처럼요.
01:00
So can you tell us a little bit more about that?
19
60190
2636
그 불안함에 대해 좀 더 말씀해 주시겠어요?
01:03
NS: So I always want to start by saying, even though I have written about it,
20
63794
3637
나오미: 우선 말씀드리고 싶은 건 불안감에 대해 글을 쓴 건 맞지만
01:07
I still don't really feel like an expert because this is just --
21
67464
3036
제가 전문가라고 느끼지는 않아요. 왜냐하면 이건 그냥...
01:10
I always want to decenter my voice as an expert
22
70500
2303
전문가로서 목소리를 낸다고 자부하지는 않는 게
01:12
because I'm just feeling this out like everyone else.
23
72803
2769
저 또한 다른 사람들처럼 여전히 배우는 중이거든요.
01:15
But in my experience,
24
75606
1968
하지만 제 경험으로는
01:17
social media and anxiety are connected,
25
77608
3737
소셜 미디어와 불안감은 연관되어 있어요.
01:21
you know, or social media exacerbates anxious feelings.
26
81378
4404
소셜 미디어는 불안감을 증폭시키죠.
01:25
It exacerbates the human condition.
27
85816
2102
우리의 상태를 악화시킵니다.
01:27
And so things that we may have insecurities and anxieties around,
28
87951
5005
우리가 불안정함과 불안감을 느낄 수 있는 것들은
01:32
like, you know, our relationships, our bodies, our work,
29
92956
4304
아마, 잘 아시겠지만, 대인관계나 우리의 신체, 하는 일,
01:37
the things that make up our sense of self,
30
97294
2569
그러니까 우리의 자아를 이루고 있는 것들이라 할 수 있죠.
01:39
I think the anxiety we feel
31
99896
2369
우리가 느끼는 불안감..
01:42
or we can feel when we use social media can sometimes act as a marker
32
102299
4771
SNS로 일어나는 불안감은 일종의 지표가 되기도 합니다.
01:47
for things that show us where we need to do work
33
107104
3737
우리가 무엇에 더 노력해야 하고 어떤 상황에서 자신이 없어지는지
01:50
or where we feel insecure.
34
110874
2870
보여주는 지표 말이죠.
01:53
And sometimes it's just a message being reflected back to us.
35
113777
3503
또 가끔은 메세지 같은 역할을 하기도 합니다.
01:57
And also, like I said, social media exacerbates the human condition.
36
117614
4171
그리고 제가 말했듯이 소셜 미디어는 우리 상태를 악화시켜요.
02:01
You know, as humans,
37
121818
2169
우리는 그저 사람으로서 사랑받고, 존중받고, 관심받고,
02:04
I think we so often just want to be loved and cared for and seen and adored
38
124021
5071
소중히 여겨지거나 인정받기를 원합니다.
02:09
or just acknowledged.
39
129092
2169
02:11
So social media has also become, you know, our main mode of communication,
40
131294
6073
소셜 미디어는 아시다시피 주된 소통의 방식이 되었습니다.
02:17
our method of work.
41
137367
2202
또 일 하는 방식이기도 하죠.
02:19
Some of those things, those lines can start to become very blurred.
42
139603
3336
가끔 이런 소통과 일의 경계가 아주 불분명해지기도 합니다.
02:22
CSB: Absolutely.
43
142973
1168
클로이: 맞아요.
02:24
Yeah, and in addition to making lives look shiny and perfect,
44
144174
4872
우리 삶이 빛나고 완벽하게 보이도록 만드는 것과 더불어
02:29
social media also seems to fuel a lot of FOMO, or fear of missing out.
45
149079
4137
소셜 미디어는 일종의 FOMO, 즉 뒤쳐지는 것에 대한 두려움을 키우죠.
02:33
And I'm curious what you'd suggest for people who experience
46
153250
2836
조언을 구하고 싶은 것은
타인의 영상과 사진 속 즐거움을 보며 불안감을 느낄 때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?
02:36
a lot of anxiety from seeing videos and images
47
156086
2636
02:38
of other people having a ton of fun and,
48
158755
1936
02:40
you know, not knowing how to deal with that.
49
160724
2569
그런 불안감을 어떻게 다룰지 모르는 사람들에게요.
02:44
NS: I think, like I said slightly earlier,
50
164461
3570
나오미: 제가 생각하기엔, 방금 전에 말했듯이
02:48
the feelings of anxiety when they come up,
51
168065
2802
불안한 느낌이 올라올 때
02:50
like, what is that message, you know,
52
170901
2369
이게 무슨 메세지인지,
02:53
taking that step back and being, like, why do I feel this way?
53
173270
4504
한 발 뒤로 물러서서 내가 왜 이렇게 느끼는지,
02:57
Why is this making me feel like this?
54
177808
2469
왜 이게 내가 이렇게 느끼도록 만드는지,
03:00
And kind of reading into it.
55
180310
1435
일종의 의미를 찾아보는 거죠.
03:01
And in my personal experience,
56
181778
1669
그리고 제 개인적인 경험에 비추어보면
03:03
the thing that works for me
57
183480
2402
저한테 효과가 있는 방법은
03:05
is just taking a step back, taking a moment,
58
185916
3069
뒤로 한 발 물러서서 잠시 시간을 갖는 거에요.
03:09
you know, if something is making me feel bad,
59
189019
3103
내 기분을 나쁘게 하는 것이 있다면
03:12
for example, if social media --
60
192155
2336
예를 들어, 소셜 미디어 같이 --
03:14
if we thought of it as a substance, for example,
61
194524
2269
예를 들어 소셜 미디어를 물질이라고 가정했을 때
03:16
if something was making you feel bad, what would you do about it?
62
196793
3203
그 물질이 내 기분을 나쁘게 만든다면 그걸 어떻게 할 수 있을까요?
03:20
Would you stop using it?
63
200030
2536
그만 사용할까요?
03:22
You know, I think there's levels to this because sometimes, you know,
64
202566
3670
아시겠지만 여기엔 정도가 있는 게
때로는 요즘 일들이 소셜 미디어와 깊게 얽혀 있어서
03:26
we may have work now that is so intertwined with social media
65
206269
3270
03:29
and it can't just be like, oh, stop using it.
66
209573
2135
오, 이제 그만 사용할까, 이렇게 할 수 없다는 거죠.
03:31
And I know that there's a spectrum.
67
211742
3003
그리고 범위라는 게 있다는 걸 알아요.
03:34
And I'm also navigating this constantly myself
68
214778
4404
저 또한 스스로도 계속해서 이걸 탐색하고 있어요.
03:39
when as a public-facing person,
69
219182
2336
대중을 상대해야 하는 사람으로서
03:41
my job is so intertwined with social media
70
221551
3137
제 일은 소셜 미디어와 깊이 얽혀 있지만
03:44
and it's something I want to do less and less.
71
224721
2369
점점 멀리 하고 싶기도 하죠.
03:47
So I'm navigating that kind of boundary for me all the time.
72
227424
3437
그래서 전 항상 그런 경계선을 찾아요.
03:50
So it's just negotiating,
73
230894
2035
협상이라고 볼 수도 있죠.
03:52
sometimes it's not as clear cut, you know,
74
232963
3570
가끔은 그 경계선이 그렇게 명확하지 않아요.
03:56
it may for you start as take the weekends off, or you know,
75
236533
3604
주말에는 소셜 미디어를 안 하는 걸로 시작할 수도 있겠죠.
사실 제 핸드폰에는 소셜 미디어가 없을 때가 많아요.
04:00
I actually personally most of the time don't have social media on my phone.
76
240170
3537
04:03
And just when I have to do something for work,
77
243707
2169
제가 하는 일 떄문에 필요할 때만
04:05
that's when I interact with it,
78
245876
1534
소셜 미디어로 소통하죠.
04:07
especially this year that's been so heavy, you know,
79
247444
3437
아시겠지만 이번 해는 특히 어려운 시기였고
04:10
and where there is no "off" button
80
250914
2803
‘끄기’ 버튼 같은 건 없고
04:13
and every new day bringing such bad news,
81
253717
2536
매일 나쁜 소식을 듣죠.
04:16
like, I'm a very sensitive person,
82
256253
2369
저는 매우 섬세한 사람이고
04:18
so I have to do the things I know that I need to take care of myself,
83
258655
4238
그래서 마음 상하지 않으려고 화면 아래 글들은 읽지 않기도 해요.
04:22
which is not scroll.
84
262926
1869
04:24
Also, I've had an injury in my hand,
85
264828
2469
또 제 손을 다친 적이 있었는데
04:27
which means I can't actually scroll,
86
267330
2203
화면 스크롤을 할 수 없었죠.
04:29
so I'm like, "This is a sign!
87
269566
1468
그래서 저는 막, “이건 신호야!
04:31
I'm just not supposed to be interacting like that right now."
88
271067
4205
지금은 이걸 하면 안되는 거야” 라고 생각했죠.
04:35
So just listening and knowing
89
275305
2202
그래서 듣고 아셨으면 해요.
04:37
that you don't have to fall under the pressure.
90
277541
2202
압박감을 느낄 필요가 없다는 것을요.
04:39
Like, I think so often we think that if we don't post,
91
279743
3370
때론 이럴 때가 있죠.
게시물을 올리지 않으면 존재감이 없는 것 같을 때요.
04:43
we don't exist.
92
283113
1301
04:44
Our existence, you know --
93
284447
3270
아시겠지만, 우리의 존재는 --
04:47
we only exist when other people see us existing.
94
287717
2570
타인이 우리 존재를 봐줄 때만 우리는 존재해요.
04:50
Like, that, that whole line, like,
95
290287
1768
말하자면 이런 거죠.
04:52
"Oh, if you didn't post about it, it didn't happen."
96
292088
3137
“오, 그 일로 글을 올리지 않았다면 그건 없던 일이 되는 거야.”
04:55
That concept.
97
295225
1735
그런 개념인거죠.
04:57
We've started to internalize, you know,
98
297294
1868
우리는 내면화하기 시작했어요.
04:59
especially my generation of millennials, gen-Z,
99
299162
3937
특히나 제가 있는 MZ세대가 그래요.
05:03
like, if you didn't post it, it didn't happen.
100
303133
2936
그러니까, 게시물을 올리지 않았다면 아예 없었던 일인 거죠.
05:06
And so it's just like going back and being like, OK, is that true?
101
306102
4905
그래서 다시 생각하면서, 그래, 전심이야?
05:11
Why do I feel the need to share this?
102
311408
2769
왜 이 일을 공유해야 하는 필요성을 느끼는 거지?
05:14
And asking those questions.
103
314177
1802
이런 질문들을 하는 거죠.
05:16
And that's what I do.
104
316646
1569
저는 그렇게 해요.
05:18
So like I said, I'm not an expert,
105
318248
1735
이미 말했듯이, 저는 전문가가 아니에요.
05:20
I too I'm working this out and every day feels totally different.
106
320016
3571
저도 노력하고 있고 매일매일이 전혀 다르게 느껴져요.
05:23
But asking those questions is a great place to start.
107
323620
3971
하지만 이런 질문들을 하는 건 좋은 시작점이에요.
05:27
CSB: Thank you for that.
108
327624
1168
클로이: 감사합니다.
05:28
So we have a question from the audience.
109
328825
1935
이번엔 시청자 질문이 있는데요.
05:30
Let's bring that up.
110
330760
1368
살펴봅시다.
05:32
OK, so related to this, from Facebook,
111
332762
2503
페이스북을 통해 들어온 질문이네요.
05:35
"What question should we be asking ourselves
112
335298
2303
“소셜 미디어에 게시물을 올리기 전에
05:37
before we post on social media?"
113
337634
2069
우리 스스로에게 어떤 질문을 해야 할까요?”
05:40
NS: So I like to ask myself, like, why do I want to share this right now?
114
340871
5705
나오미: 저는 이런 질문을 해요. 왜 내가 지금 이걸 공유하고 싶어하지?
05:46
Is this something --
115
346610
1468
말하자면 --
05:48
as a person that has grown up on the internet, on social media,
116
348078
5405
인터넷이나 소셜 미디어와 함께 자라온 사람으로서
05:53
so often how I validated myself and my sense of self
117
353516
5039
저 자신과 제 자아의 타당성을 찾기 위해서
05:58
was posting something and people reacting to it.
118
358555
2669
게시물을 올리고 사람들의 반응을 보곤 했어요.
06:01
And I think that's just very murky territory.
119
361258
2402
그리고 그건 아주 탁하고 흐린 영역이라 볼 수 있죠.
06:04
I think like, you know,
120
364027
1869
그때 이런 생각이 들어요.
06:05
why do I feel the need to share this?
121
365929
1802
왜 내가 이걸 공유할 필요성을 느끼지?
06:07
Is this something that feels also private to me?
122
367764
4071
이거 어쩌면 개인적인 내용 아닌가?
06:11
You know, in my opinion, on whether,
123
371868
2136
그런데 여기에 대한 제 생각은,
06:14
and I guess, you know, I have not the biggest social media following,
124
374037
3904
저는 소셜 미디어 팔로워 수가 아주 많지는 않지만
06:17
but a social media following,
125
377974
1902
그래도 어느 정도는 팔로워가 있는 사람으로서
06:19
that sometimes, when I'm like, does that person, for me,
126
379910
3670
가끔 이런 생각을 해요. 제 주변 사람들이,
06:23
does my family member want to be shown online, for example,
127
383613
3637
예를 들어 내 가족이 온라인에 자신의 모습이 올라가기를 바랄까?
06:27
like, or is this a private moment?
128
387250
2069
아니면 이건 너무 사적인 내용인가?
06:29
I think navigating, like, do I feel not good about myself right now
129
389653
5238
내가 지금 내 자신에 대해 좋게 생각하지 못하는데
06:34
and is posting a picture of myself looking, like, hot,
130
394925
3837
제가 좀 섹시해보이는 사진을 올리거나
06:38
or whatever the equivalent of looking really happy --
131
398762
3570
아니면 정말 행복해 보이는 사진이나 그 비슷한 사진을 올린다거나요.
06:42
I think sometimes so often we post about the things that we are yearning for,
132
402365
5306
우리는 동경하는 것들에 대해 게시물을 자주 올리곤 하는 것 같아요.
06:47
whether that's attention, love, craving.
133
407704
2469
그게 관심이든 사랑이든 갈망이든
06:50
And I think there's deeper underlying messages
134
410173
4037
그리고 가끔 그런 게시물에는
06:54
behind posting sometimes, you know,
135
414210
2636
깊이 내포되어 있는 메세지가 있는 것 같아요.
06:56
and that it is a projection of the things that we want in our lives,
136
416846
3871
우리 삶에서 바라는 것들을 투영하는 거죠.
07:00
for example, posting photos of people you want better relationships with
137
420750
4071
예를 들어, 더 친하게 지내고 싶은 사람들의 사진을 올린다거나
07:04
or, you know,
138
424854
1168
아니면, 뭐,
07:06
there's a big spectrum of experience.
139
426022
2937
넓은 범위의 경험이 있을 수 있겠죠.
07:08
But for me, I just try to ask myself,
140
428959
3370
하지만 저는 그냥 저 자신에게 질문을 던지려 노력해요.
07:12
why do I feel the need to make this public right now?
141
432362
2502
지금 이걸 왜 공개히려는 거지?
07:14
Is this something that I am proud of?
142
434898
2002
이게 내가 자랑스럽게 생각하는 건가?
07:16
And it's no critique.
143
436933
1201
그게 나쁜 건 아니죠.
07:18
This is really questions that are just a gauge where I'm at
144
438168
3303
사실 이런 질문들을 척도 삼아
현재 나의 입장을 살펴보고 다른 사람의 입장도 생각하는 거죠.
07:21
or where someone else is at with it.
145
441504
2470
07:24
Like, is this something that actually
146
444007
1768
이게 정말
07:25
I just need to pay attention to in my own life privately,
147
445809
4237
나의 삶에서 개인적으로 관심을 두어야 하는 것인지
07:30
of, like, this is something I should be working on or thinking about,
148
450080
3270
내가 이걸 다루거나 생각을 해 봐야 하는 것인지
07:33
or there's just deeper questions about context,
149
453383
2769
혹은 그런 맥락에서 더 깊은 질문이 가능하겠죠.
07:36
I think, that are important.
150
456186
1368
제 생각엔 그게 중요해요.
07:37
CSB: Yeah, yeah.
151
457587
1201
클로이: 네, 네.
07:38
And I think as we're now at our final question,
152
458788
3137
그리고 마지막 질문만을 남겨 놓고 있는데요.
07:41
which is something that I think is related to what you're saying
153
461958
3037
이 질문은 이미 말씀하신 것과 관련 있는 질문인데요.
07:44
around when to post or not to post,
154
464995
2102
게시물을 올릴지 말지에 대한 것인데
07:47
but from a different angle, which is, you know,
155
467130
2569
시각이 좀 다른 경우입니다.
07:49
a lot of people have anxiety about whether or not to post
156
469733
2702
많은 사람들이 글을 올릴지 말지 걱정하는 것 중 하나가
07:52
their social justice activism on their accounts
157
472435
2570
자기 계정에 사회정의 운동에 대해 언급하는 것인데요.
07:55
and regardless of the activism they might be already doing
158
475038
2736
소셜 미디어 밖에서 이미 하고 있을지도 모르는
07:57
outside of social media, right?
159
477774
1768
사회정의 운동과는 별개로 말이죠.
07:59
And some people just find it performative.
160
479576
2002
그리고 어떤 사람들은 그걸 보여주기 식이라 생각해요.
08:01
But at the same time, there was a fear of looking apathetic
161
481611
2770
그 반면에 자기 소셜 미디어에 사회정의에 관한 글을 올리지 않으면
08:04
if people are not posting about social justice on social media.
162
484414
2970
그것에 무관심한 사람으로 보일까봐 걱정하기도 하죠.
08:07
So how do you suggest people deal with that anxiety
163
487384
2702
그런 불안감을 어떻게 다루고 어떤 생각을 해야 하는지
08:10
and think about that?
164
490120
1401
한 말씀 해 주실 수 있을까요?
08:12
NS: I mean, that's definitely an anxiety of our generation, right?
165
492088
4471
나오미: 네, 그런 건 분명히 우리 세대의 불안이죠. 그렇죠?
08:16
Anxieties around posting about social justice.
166
496893
2236
사회정의 운동에 대한 글을 올릴 때의 불안감이요.
08:19
I think the big question here is asking ourselves, like,
167
499129
2669
여기서 자신에게 던질 수 있는 중요한 질문은 이런 거예요.
08:21
what am I doing in my own life?
168
501831
2469
내 삶에서 니는 무엇을 하고 있지?
08:24
You know, and again, there is a spectrum,
169
504701
3236
다시 말하면, 경험에는 범위가 있어요.
08:27
because there's a lot of people
170
507971
1735
왜냐하면 정말 많은 사람들이
08:29
who are sharing a lot of important information via social media.
171
509739
4038
소셜 미디어를 통해 중요한 정보를 공유하거든요.
08:33
So you have, like, organizers and then everybody else.
172
513777
2802
보면 거기에는 주최자가 있고 그밖의 나머지 사람들이 있어요.
08:36
But if you are --
173
516613
1802
하지만 여러분이 --
08:38
Once again, you know, I can't speak for everybody,
174
518448
2402
다시 한번 말하지만 저는 모두를 대변하지는 못해요.
08:40
but just I think it's --
175
520884
3103
하지만 그냥 제 생각엔 --
08:44
I read this quote by an activist in Oregon,
176
524020
2870
오리건 주에서 활동하는 운동가가 한 말을 읽은 적이 있어요.
08:46
a lifetime organizer called Grace Lee Boggs,
177
526890
2435
평생을 사회 운동가로 활동하신 그레이스 리 보그스 씨의 말인데요.
08:49
and she said that, you know, that a lot of times in our lives
178
529325
3270
우리는 살면서 대부분은
08:52
we don't prioritize the importance of self-reflection and revolution.
179
532629
5138
자기성찰과 혁명 중에서 어느 것을 우선시하지 않아요.
08:58
And I think, you know, we so care about optics.
180
538101
4638
그리고 제 생각엔..
우리는 남의 시선에 신경을 많이 쓰죠.
09:02
We don't want people to think that we are racists, sizeist, sexist, etc.
181
542739
4471
인종주의자, 외모차별주의자, 성차별주의자로 보여지길 원하지 않죠.
09:07
But to not create and redo this kind of harm in the world,
182
547243
5906
하지만 세상에 이런 해악을 끼치거나 반복하지 않으려면
09:13
we need to understand and really reflect
183
553183
2669
어느 정도 내면화된 이런 시스템을 이해하고
09:15
on these systems that we've all internalized to some effect.
184
555852
4204
정말로 반추해 보아야 합니다.
09:20
So to understand, like, where am I on the spectrum?
185
560557
2903
그래서 이해하려면, 내가 이 범위 안에서 어디에 있나?
09:23
How do I benefit?
186
563493
1201
나는 어떤 혜택을 보나?
09:24
All of these things actually really take time and deep, you know,
187
564694
5172
이런 모든 질문들은 많은 시간과 깊은 자기성찰과
09:29
self-reflection and work.
188
569899
2369
노력이 정말 필요해요.
09:32
And that kind of questioning, I think,
189
572302
2636
그리고 이런 종류의 질문은, 제 생각엔
09:34
is something that I find it helpful to be offline
190
574971
3470
오프라인에서 하는 것이 도움이 돼요.
09:38
because I'm like, otherwise, I'm just listening
191
578475
2202
왜냐하면 온라인이었다면
저는 다른 사람들이 말하는 것을 듣고만 있었을 수 있어요.
09:40
to what everybody else is saying.
192
580710
1602
09:42
Like, are these my thoughts and my feelings
193
582312
2903
그러니까, 이 생각들이 내 생각이고 감정인 것인지
09:45
or am I just internalizing
194
585248
2202
아니면 다른 사람들이
09:47
what other people are just shouting into the atmosphere
195
587484
2602
허공이나 인터넷에 그냥 소리 지르는 걸 그대로 받아들인 것인지 묻개 됩니다.
09:50
and into the internet?
196
590086
1201
제 생각엔, 어떤 순간들이 있다고 생각해요.
09:51
I think, there's moments where obviously,
197
591287
3070
09:54
a lot the uprisings in June would not have happened
198
594390
2436
6월에 발생했던 많은 시위는 분명
09:56
if it wasn't for the information that was shared
199
596826
2269
정보 공유가 없었다면 일어나지 않았을 거에요.
그리고 그런 행위는 물론 아주 중요하죠.
09:59
and that action, of course, was so important.
200
599129
2569
10:01
But I think there's different phases, you know.
201
601731
2536
하지만 저는 각기 다른 단계들이 있다고 생각해요.
10:05
And when it's just about shame and optics,
202
605001
3103
수치심과 사람들의 시선만 걱정하는 단계에서는
10:08
that's not how we change the world.
203
608138
1768
세상을 바꿀 수 없어요.
10:09
For us to change the world,
204
609939
1335
우리가 세상을 바꾸려면
10:11
we need to inhabit and act on these reflections.
205
611307
4972
이런 반추를 계속 하고 행동으로 보여주어야 해요.
10:16
So I think there are again, more questions to ask ourselves, like,
206
616913
6306
다시 말하지만, 우리 자신에게 물어볼 질문들이 많아요.
10:23
do I just not want people to think that I do this?
207
623253
2602
내가 이런 걸 한다는 것을 사람들이 몰랐으면 하나?
10:26
And often we are in echo chamber of the people who follow us
208
626256
3403
때로는 나를 따르는 사람들과 내가 따르는 사람들이
10:29
and people we follow, right?
209
629692
2036
서로에게 영향을 미칩니다. 그렇죠?
10:31
So a lot of the times we're just sharing and shouting
210
631761
2703
많은 경우 우리는 같은 이상을 가진 사람들 속에서
10:34
into the atmosphere of people who have the same ideals as us.
211
634464
4604
정보를 공유하고 의견을 주장하곤 해요.
10:39
And that energy can be used in a different way.
212
639602
3537
그리고 그런 에너지는 다른 방식으로 사용될 수 있어요.
또 가끔은 더 진지한 대화를 하는 게 어려울 수 있다고 생각해요.
10:44
And also sometimes inhibits, I think, real harder conversations from happening,
213
644374
4237
10:48
because I think social media isn't often an intimate enough of a space
214
648645
4871
왜냐하면 소셜 미디어는
서로 껄끄러운 질문을 하기에는 충분히 친밀한 공간이 아니거든요.
10:53
to be able to ask each other questions that we're afraid to ask.
215
653550
3470
10:57
Or mistakes, it's not favorable to making mistakes anymore,
216
657053
4037
또는 실수들. 소셜 미디어는 실수에 관대하지 않아요.
11:01
which is my critique and sadness about social media.
217
661124
3103
그게 소셜 미디어에 대한 제 비판이자 아쉬운 점이기도 하죠.
11:04
You know, our biggest fear is being called out for something.
218
664260
3404
우리의 가장 큰 두려움은 공개적으로 비판을 받는 거예요.
11:07
But this call-out culture, sometimes, not always,
219
667664
4237
이 ‘비판’문화는 항상은 아닐지라도 가끔은
11:11
I understand its role and place in society,
220
671935
2168
사회에서의 역할과 나름의 자리가 있다고 생각해요.
11:14
but sometimes doesn't allow for us
221
674137
2702
하지만 이 문화는 가끔 우리가 내면화한
11:16
to have more engaged conversations around these systems
222
676873
5238
여러 시스템에 대한 더 진지한 대화를
11:22
that we've internalized.
223
682145
1768
허용하지 않아요.
11:24
And we all make mistakes and we all have to learn
224
684414
2803
또 우리는 모두 실수를 하고 모두 배워야 하는데
11:27
and sometimes it doesn't allow for that to happen.
225
687250
2769
소셜 미디어는 그걸 허용하지 않아요.
11:30
CSB: Yeah, yeah, yeah.
226
690787
1768
클로이: 네, 네, 맞아요.
11:32
Well, I think that's beautifully said
227
692589
1801
네, 좋은 말씀 잘 들었고
11:34
and we've come to the end of our time here.
228
694424
2035
이제 시간이 다 되었네요.
11:36
But I am so grateful to you for this conversation, Naomi,
229
696492
2770
오늘 대화 나눌 수 있어서 기뻐요.
11:39
and thank you for sharing all this.
230
699295
2436
모든 말씀에도 감사드립니다.
11:41
I'll talk to you soon. Take care.
231
701731
2636
다음에 또 대화 나누기로 하죠. 잘 지내시고요.
11:44
NS: Thank you, Cloe and everyone.
232
704400
2002
나오미: 감사합니다, 클로이 그리고 여러분.
11:46
Much love.
233
706436
1134
안녕히 계세요.
이 웹사이트 정보

이 사이트는 영어 학습에 유용한 YouTube 동영상을 소개합니다. 전 세계 최고의 선생님들이 가르치는 영어 수업을 보게 될 것입니다. 각 동영상 페이지에 표시되는 영어 자막을 더블 클릭하면 그곳에서 동영상이 재생됩니다. 비디오 재생에 맞춰 자막이 스크롤됩니다. 의견이나 요청이 있는 경우 이 문의 양식을 사용하여 문의하십시오.

https://forms.gle/WvT1wiN1qDtmnspy7